[뉴스특보] 고성 산불 반나절만에 신속 진화…잔불 정리 주력<br /><br /><br />총 85 헥타아르의 산림과 주택 등 6동을 태운 강원도 고성산불이 진화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소방 당국은 오늘 오전 8시 기준, 주불 진화를 마무리하고 잔불을 끄는데 주력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전문가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동현 전주대 소방안전공학과 교수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강원도 고성군의 한 주택에서 시작된 불이 야산으로 옮아 붙어 85㏊의 산림과 주택 등 6동을 태우고 12시간여 만에 주불이 진화됐습니다. 주불이 진화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?<br /><br /> 작년 고성 산불 때와는 달리 이번에는 반나절만에 신속하게 진화가 가능했습니다. 소방당국은 최일선에 투입된 소방청의 화선 차단 작전이 주효했다고 평가했는데요. 어떤 작전이었나요?<br /><br /> 예상보다 빠른 진화가 가능했던 이유로 진화 여건과 습도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오던데요. 어떤 내용인가요?<br /><br /> 소방 당국은 잔불을 잡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. 다만, 건조특보가 발효된 만큼 대기가 매우 건조하고 바람도 여전히 불고 있어 불씨가 다시 발화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되는데요. 남은 변수는 어떤 게 있을까요?<br /><br /> 이번 산불은 밤사이에 태풍급 강풍을 타고 급속도로 확산됐습니다. 고성 산불의 피해가 컸던 것은 양간지풍이 원인이 됐다고 하는데요. 사실 이 바람 때문에 역대 큰 산불들도 일어났다고 하죠?<br /><br /> 바람이 강한 정도에 따라 산불 위험은 어떻게 달라지게 되나요?<br /><br /> 2000년 동해안 산불 그리고 낙산사가 소실됐던 2005년 양양 산불, 지난해 고성과 속초에 발생한 산불 등 역대 대형 산불은 모두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했습니다. 봄철만 되면 동해안을 따라 산불이 나고, 또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건 지형상의 영향도 있는 걸까요?<br /><br /> 이번 고성 산불 현장은 지난해와 놀라울 정도로 닮아 있습니다. 하지만 지난해 4월에 발생한 고성산불은 이번에 났던 산불보다 범위가 상당히 컸는데요. 지난해와 올해 화재,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2년 연속 산불 피해가 발생하면서 고성 지역 주민들의 얼굴이 수심이 가득한데요. 정부는 피해복구에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는 입장이죠. 어떤 지원이 가장 실효성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마지막으로 해마다 반복되는 봄철 산불을 좀 더 근본적으로 예방할 방법이 필요할 것 같아요. 정부와 개인 차원에서 어떤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보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